6장 6부가 허약할때의 증상
1. 간장과 담랑(쓸개) 1) 정신적 증상 ☆ 노하기를 잘하고 결벽증이 있다.약 올리고 심술부린다. ☆ 쌀쌀맞고 변덕스럽다.(마음에 기복이 심하고 히스테리가 심하다) ☆ 폭언을 하며 폭력적이다(죽인다라는 말을 잘 한다) ☆ 심술부리고 비꼬아서 말한다(남이 잘되는 꼴을 못 본다) 2) 육체적 증상 ☆ 혀에 백태가 끼며 입이 쓰다. 목이 쉬고 가래가 나온다. ☆ 편두통이 있고 피곤하며 잠도 안오면서 늘 졸린다. ☆ 구역질이 나고 속이 쓰리며 도포증이 있다(더부룩 한 증세)) ☆ 명치 부근 옆구리가 결린다. 시력이 저하되며 눈이 피곤하다. ☆ 입술에 푸른빛이 돈다. 닭살피부. 담석증,간경화, 간암,간염) 2. 심장과 소장 1) 정신적 증상 ☆ 화를 잘 내고 신경질을 잘 낸다.집중력이 없고 급하다. ☆ 쓸데없는 고집이 있다. 질투와 시기심이 많고 허세가 많다. ☆ 성질이 급하고 폭발적이다(마치 가랑잎에 불 붙는 것과 같다). ☆ 버릇이 없고 제멋대로다.사치하고 야하며 공주병이 있다. 2) 육체적 증상 ☆ 가슴이 두근거리고 명치통이 있다. 습관성 유산을 한다. ☆ 아랫배가 늘 차다(아랫배는 소장이 주관), 소화가 안된다 ☆ 윗팔뚝이 저리고 아프며 식은땀이 난다. 딸국질.혓바늘. ☆ 심장판막증. 여드름, 숨이 차다. 심근경색증, 심장성고혈압. 3. 비장과 위장 1) 정신적 증상 ☆ 쓸데없는 근심걱정이 많다. 게으르고 핑계를 댄다. 의심이 많다. ☆ 되묻고 반복하여 말한다. 혼잣말을 잘 한다. 수다스럽다. ☆ 공상망상을 잘 하며 집안이나 주변정리를 안한다. 2) 육체적 증상 ☆ 개기름이 흐르며 비만(비계살이 많다),입술이나 입안이 자주 헌다. ☆ 대변이 흙처럼 퍼지고 물에 뜬다.설근이 굳고 수족을 떤다. ☆ 위산과다, 비장성 당뇨. 위염과 위궤양, 구안와사.위암. 위하수 4. 폐장과 대장 1) 정신적 증상 ☆ 공연히 슬퍼한다. 비관하고 염세주의(厭世主義 )가 되기도 한다. 비관하여 자살을 시도하기도 한다.(죽고 싶다는 말을 자주 한다) ☆ 얼굴이 창백하다. 화가나면 표정이 표독스럽고 차다. ☆ 쓸데없는 권위의식이 있다.아이들이 폐가 약하면 징징 짠다. 2) 육체적 증상 ☆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축농증. 피부병이 있다. 재채기를 자주 한다. ☆ 대변이 묽고 가늘거나 설사를 자주 한다. 웃배가 나오고 냉하다. ☆ 폐결핵. 폐렴. 대장염. 치질. 치루. 탈홍. 탈장. 폐암. 대장암. 직장암 등의 질환이 올 수있다. 5. 신장과 방광 1) 정신적 증상 ☆ 불평과 불만이 많고 편을 가른다.겁이 많고 잘 놀란다. ☆ 반항하고 저항하며 맘에 안들면 둘러 엎는다. ☆ 엄살이 심하고 핑계를 대며 놀고 먹으려고 한다. ☆ 어린아이가 신장-방광이 약하면 밤중에 혼자 화장실에 못 간다. 2) 육체적 증상 ☆ 얼굴이 검고 머리가 잘 빠지며 하품이 자주 난다. ☆ 뒷골이 아프고 눈알이 빠질듯이 아프다. 近視와 遠視가 올 수 있다. ☆ 허리 통증(腎虛腰痛), 발목이 시리고 저리다. 오금이 당긴다. ☆ 소변빈삭(小便頻數:소변이 자주 나오는 것) 단백뇨(소변이 뿌옇다) ☆ 생리통. 하복부통. 냉증. 대하,자궁염,신장염. 방광염. 자궁암. 자궁근종.난소암 등의 질병이 올 수 있다. 6. 심포와 삼초부 1) 정신적 증상 ☆ 얼굴표정이 부자연스럽다. 웃는데 우는것 같고 우는데 웃는것 같다. ☆ 쓸데없이 걱정하고 말이 많다. 불안하고 초조해 한다. 요령을 피우고 잔 꾀를 부린다. 이간질을 잘 한다.신경성질환이 있다. ☆ 몸은 찬데 찬 것을 좋아한다. 이같은 증상은 특히 환절기에 심하다. 2) 육체적 증상 ☆ 신경이 예민하다. 불면증이 있거나 숙면을 못 취한다. 신경쇠약. 신경통. 우울증. 남의 집에가서 못 잔다. ☆ 손바닥에 땀나고. 허물벗는다. 반점. 흉통(잔중통)이 있다. ☆ 손발이 차다. 통증 왕래. 어깨가 결리고 쥐가 난다. ☆ 한열왕래. 건망증이 있고 나이가 들면 치매가 올 수 있다. 매핵(목이 깔깔한 것)전립선 염,혈소판 부족증(피가 응고가 안된다) 주(註):이와같은 증상은 음양오행(陰陽五行)상 木-火-土)-金-水-相火氣가 부족할 때 나타날 수도 있다는 뜻입니다. 그러나 각 개인이 처한 환경이나 교육정도,수양(修養)과 수련(修練)에 따라서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각각의 기운(氣運)이 가지는 성질이나 특성으로 볼때 이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으므로 그에 맞는 섭생과 운동, 호흡과 환경, 마음관리가 중요하다는 관점에서 올린 것이니 참고 바랍니다. -- 정종훈의 건강이야기 --
출처 : 6장 6부가 허약할때의 증상
글쓴이 : 정종훈 원글보기
메모 :
'게임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얼굴은 우리몸의 건강 지도... (0) | 2008.08.12 |
---|---|
[스크랩] 운동은 왜 하는가?(2) (0) | 2008.08.12 |
[스크랩] 챙겨야 할 남편의 폐경기 (0) | 2008.08.08 |
[스크랩] 암.당뇨.고혈압특효조릿대입니다. (0) | 2008.08.02 |
[스크랩] 성분별로 나눈, 프로급 상비약 가이드 (0) | 2008.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