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정(感情)과 육장육부(六臟六腑)
1) 간장과 담낭이 약하면, 폭로하기를 잘하고,
2) 심장과 소장이 약하면, 웃기를 잘하며(喜),
3) 비장과 위장이 약하면, 사고 즉 생각이 많아 공상 망상하고,
4) 폐장과 대장이 약하면, 비관적이며 동정심이 많아지며,
5) 신장과 방광이 약하면, 공포 즉 겁이 많아지고,
6) 심포장과 삼초부가 약하면, 불안·초조·예민해지고 우울증이 생깁니다.
▣ 육종관절과 육장육부(六臟六腑)
1) 간장과 담낭이 약하면, 고관절·발관절에
2) 심장과 소장이 약하면, 주관절(팔굽)에
3) 비장과 위장이 약하면, 무릎관절에
4) 폐장과 대장이 약하면, 손목관절에
5) 신장과 방광이 약하면, 발목관절에
6) 심포장과 삼초부가 약하면, 손가락관절·어깨관절(오십견) 및 전신관절에 이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 구규(九竅)와 육장육부(六臟六腑)
구규란, 인체 내에 있는 아홉 개의 구멍을 뜻하는 것으로, 눈2, 코2, 귀2, 입, 생식기, 항문을 말합니다. 이들은 각기 6장6부와 통하여 공기와 음식물에서 흡수되는 물질들의 유입과 배출 임무를 수행합니다.
1) 눈
눈은 간장과 담낭으로 통하므로, 간장과 담낭이 약하면 시력이 떨어지는 등 눈에 이상이 생기며,
2) 혀
입 속에 있는 혀는 심장과 소장으로 통하여, 혀가 갈라지거나 혓바늘이 돋는 것은 심·소장에 이상이 생긴 것이고,
3) 입
입술을 포함한 입 전체는 비장과 위장으로 통하여, 입술이 헐고 입 안과 밖으로 염증이 생기는 것은 비장과 위장의 기능이 약한 것이며,
4) 코, 항문
코와 항문은 폐장과 대장으로 통하여 축농증, 콧물, 치질 등 코와 항문에 생기는 모든 문제는 폐·대장에 이상이 생긴 것이고,
5) 귀, 생식기
귀와 생식기는 신장과 방광으로 통하며, 귓속에 생기는 염증, 이명(소리가 나는 것), 생식기 염증이나 혹 등 모든 문제는 신장과 방광이 약하여 생기는 것이며,
6) 심포장과 삼초부는, 인체 내의 모든 세포가 음식물을 흡수하여 필요한 것은 에너지로 변화시키고 불필요한 것은 배설시키는 능력을 주관하므로, 모든 구규와 관련이 있으며 이를 신진대사 혹은 생명활동이라고 합니다.
▣ 신체부위와 육장육부(六臟六腑)
1) 간장과 담낭의 기운은 목으로,
2) 심장과 소장의 기운은 얼굴로,
3) 비장과 위장의 기운은 몸통(중초 즉 명치에서 배꼽)으로,
4) 폐장과 대장의 기운은 가슴으로,
5) 신장과 방광의 기운은 하초 즉 허리 아래로,
6) 심포장과 삼초부의 기운은 상초·중초·하초, 즉 전신에 나타나므로,
이들 각 부위에 이상 징후가 생기는 것은 관련 장부에 이상이 생긴다는 증거입니다.
▣ 물과 육장육부(六臟六腑)
1) 눈물이 나는 것은 간장과 담낭이 약한 것이며,
2) 땀이 나는 것은 심장과 소장이,
3) 개기름이 생기는 것은 비장과 위장이,
4) 콧물이 나는 것은 폐장과 대장이,
5) 침을 흘리는 것은 신장과 방광이,
6) 식은 땀, 요실금은 심포장과 삼초부가 약한 것입니다.
▣ 숨과 육장육부(六臟六腑)
1) 한숨을 쉬는 것은 간장과 담낭의 힘이 빠진 것이고,
2) 딸꾹질을 하는 것은 심장과 소장,
3) 트림을 하는 것은 비장과 위장,
4) 재채기를 하는 것은 폐장과 대장,
5) 하품을 하는 것은 신장과 방광의 힘이 빠진 것이며,
6) 심포장과 삼초부의 힘이 빠지면 진저리를 칩니다.
▣ 장기(臟器)와 육장육부(六臟六腑)
1) 근육경직·근무력 등 근육에 관련된 것은 간장과 담낭에 이상이 생긴 것이고,
2) 혈관·혈액은 심장과 소장에 이상이 있는 것이며,
3) 살(肉)에 이상이 생긴 것(비만 포함)은 비장과 위장에 관련이 있고,
4) 피부와 체모에 이상이 생긴 것은 폐장과 대장에,
5) 뼈·골수, 머리가 빠지고 하얗게 세는 것은 신장과 방광에 이상이 생긴 것이며,
6) 모든 세포의 신진대사 불량으로 온몸에 혹이 생기는 것(임파액)은 심포장과 삼초부의 기능이 약하여 생기는 것입니다.
▣ 계절에 반응하는 육장육부
사람은 자연에 순응하기보다 극복하며 살아갑니다(반작용). '기후와 생리학'이라는 단체에서 연중 사람의 체온을 체크한 결과 여름으로 갈수록 체온은 낮아지고 겨울로 갈수록 높아진다는 것을 발표한 적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바로 생명력(저항력) 때문인데, 몸은 적절한 체온을 유지하여야 혈액순환, 신진대사 등 생명활동에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자연은, 겨울 동지에서 여름 하지로 갈수록 양기가 성하여 천지의 기운이 뜨거워집니다. 사람의 몸도 건강한 생명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외부의 뜨거워지는 온도 양기에 적응하기 위해 음기를 발산하는데 이것이 땀이며, 육체는 땀을 냄으로써 체온을 내려 몸의 생명활동인 음양 허실 한열을 균형있게 유지하는 것이고, 또한 하지에서 동지로 갈수록 천지의 양기는 줄어들고 음기가 성하여 추워지므로, 인체는 외부의 찬 기운을 극복하기 위해 열에너지(양기)를 발생시켜 체온을 상승시키는 것입니다.
그러면 일일과 계절에 인체는 어떻게 적응하는지 알아봅시다.
1) 새벽과 봄은 木에 해당합니다.
이 때는 기가 木이므로, 외부의 강한 木氣에 대한 반작용으로 인체의 간장과 담낭은 더많은 신진대사를 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새벽과 봄에는 간장과 담낭의 기가 많이 소모되어 힘들고, 근육경련 등 간장과 담낭에 병이 있는 사람은 더욱더 컨디션이 나빠집니다. 봄이 되면 새콤하고 쌉쌀한 맛의 음식을 많이 찾게 되는 것도 이와 같은 이유때문이므로, 생식으로 木정기식을 섭취하여 간장과 담낭의 정기를 보할 필요가 있으며, 화식으로는 신 맛이 나는 식사를 해야 합니다.
2) 아침과 여름은 火에 해당합니다.
이 때는 천지의 기가 火이므로, 외부의 강한 火氣에 대한 반작용으로 심장과 소장은 평소보다 많은 신진대사를 하게 되어 심·소장의 기가 많이 소모되므로, 심·소장에 병이 있는 사람은 이 때 더 힘이 듭니다. 이럴 때는 생식으로 火정기식을 섭취하여 심·소장의 정기를 보하여야 하며, 일반 화식도 쓴 맛이 나는 식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정오와 장하는 土에 해당합니다.
이 때는 천지의 기가 土이므로, 외부의 土氣에 대한 반작용으로 土에 속하는 비장과 위장은 더많은 신진대사를 하게 되고 그 결과 비장과 위장의 기운이 많이 소모되어 비·위장에 병이 있는 사람은 속이 더부룩하고 쓰리고 아프며 사지가 늘어지고 몸이 무거워지며 눕고만 싶어하는 등 비·위장이 약한 증상이 더 심해집니다. 생식으로는 土정기식을 하여 약해진 비·위장의 정기를 보하고, 화식으로는 기장밥 등 단 맛이 나는 식사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4) 저녁과 가을은 金에 해당합니다.
이 때는 천지의 기운이 金에 속하며, 이러한 金氣에 대한 반작용으로 金에 속하는 폐장과 대장은 기운이 더욱 더 소모되어, 피부병, 축농증, 비염, 알레르기, 콧물 등 폐·대장이 약해져 생기는 증상이 더 심해집니다. 생식으로는 金정기식으로 폐·대장의 정기를 보하여야 하며, 화식으로는 매콤한 맛이 나는 식사를 해야 하는데, 현미식이 매우 유용한 식사입니다.
5) 자정과 겨울은 水에 속합니다.
자정과 겨울에는 천지의 기운이 水에 속하며, 인체는 水에 대한 반작용으로 水에 속하는 신장과 방광은 많은 신진대사가 필요하며 이로 인한 신장과 방광의 기운이 많이 소모되므로, 뼈, 골수, 귓병, 종아리통, 후두통 등 신장과 방광이 약한 증상이 더 심해지는 것입니다. 생식으로 水정기식을 하여 신장과 방광을 보하고, 화식으로는 콩, 두부, 된장 등의 짠 맛의 음식을 섭취하여 소모된 水기운을 보충하여야 합니다.
6) 시간과 계절이 바뀌는 때, 특히 아침과 저녁, 봄과 가을, 시간과 계절이 바뀌는 이 시기는 相火에 속합니다.
相火란 인체에서는 심포장과 삼초부를 말하는 것으로, 이 때는 모든 신경성 질환(생리통, 생리불순, 불안, 초조, 예민, 우울증, 피곤, 저림증 등) 및 정신적·육체적 노동에 대한 스트레스 등으로 인한 저항력의 약화로 고생하게 됩니다. 저항력이 천지의 기운에 대한 반작용으로 소모, 악화되어 생기는 증상들입니다. 생식으로는 心정기식으로 심포장과 삼초부를 보하고, 화식으로는 옥수수, 녹두, 조 등 담백한 맛의 식사를 하여야 합니다. 담백한 맛은 시고 쓰고 달고 맵고 짠 맛이 없는 것을 말합니다.
♣ 오악(五惡)
오악(五惡)이라 하여 오장(五臟)이 각기 싫어하는 것이 있습니다.
1) 간장과 담낭은 바람(風)을 싫어하고,
2) 심장과 소장은 열(熱)을,
3) 비장과 위장은 습(濕)한 것을,
4) 폐장과 대장은 건조(乾燥)한 것을,
5) 신장과 방광은 추운 것(寒)을 싫어하며,
6) 심포장과 삼초부가 약하면, 風·熱·濕·燥·寒에 대한 저항력이 떨어집니다.
♣ 오주(五走)
오주(五走)라 하여, 오미(五味)가 친화성(親和性)을 가지고 주입(注入)되는 장부와 부분(部分)이 정해져 있습니다.
1) 신 맛은 간장과 담낭을 통하여 근(筋)으로 가고,
2) 쓴 맛은 심장과 소장을 통하여 혈(血)로 가고,
3) 단 맛은 비장과 위장을 통하여 육(肉)으로 가고,
4) 매운 맛은 폐장과 대장을 통하여 피모(皮毛)로 가고,
5) 짠 맛은 신장과 방광을 통하여 뼈·골수(骨髓)로 가고,
6) 담백한 맛은 심포장과 삼초부를 통하여 위의 모든 장기에 골고루 유입되어 생명활동을 주관합니다.
♣ 인영과 촌구 -황제내경 금복편-
무릇, 촌구맥은 내부에 속하는 음인 5장의 상태를 가리키고
인영맥은 외부에 속하는 양인 6부의 상태를 가리킵니다.
이 양자는 내외가 대응하여 왕래하므로 마치 하나의 밧줄을 잡아당긴 것처럼 상하좌우의 대소가 거의 균등해야 합니다.
그러나, 사시(四時)에 따라서 약간의 차이는 생기는 것이므로 춘하에는 천(天)의 양기(陽氣)에 따라서 인체의 양기도 반작용으로 성해지므로 이 때는 양을 나타내는 인영맥이 음을 나타내는 촌구맥보다 약간 커집니다.
추동에는 이와 반대로 천(天)의 음기(陰氣)에 따라서 촌구맥이 인영맥보다 약간 큰 것이 정상입니다. 이런 맥상인 사람을 병이 없는 사람이란 뜻으로 평인(平人)이라고 합니다.
▶ 인영의 맥력이 촌구의 맥력보다 2배 클 때는
병(病)이 족소음담경이나 수소음삼초경에 있습니다.
▶ 인영의 맥력이 촌구의 맥력보다 3배 클 때는
병(病)이 족태양방광경이나 수태양소장경에 있습니다.
▶ 인영의 맥력이 촌구의 맥력보다 4배 클 때는
병(病)이 족양명위경이나 수양명대장경에 있습니다.
▶ 인영의 맥력이 촌구의 맥력보다 5배 클 때는
양기가 너무 강하여 6부에 넘쳐 있으므로 일양(溢陽)이라 하며,
사기가 기경으로 익출하였다고 하는 것으로 음이 화합하기를 거부하는
외격(外格)이라 하며, 치료하기가 매우 어려운 상태를 말합니다.
▶ 촌구의 맥력이 인영의 맥력보다 2배 클 때는 병이 족궐음간경이나 수궐음심포경에 있습니다.
▶ 촌구의 맥력이 인영의 맥력보다 3배 클 때는 병이 족소음신경이나 수소음심경에 있습니다.
▶ 촌구의 맥력이 인영의 맥력보다 4배 클 때는 병이 족태음비경이나 수태음폐경에 있습니다.
▶ 촌구의 맥력이 인영의 맥력보다 5배 클 때는 안이 닫혀서 음기가 양기와 화합되지 않으며,
이를 내관(內關)이라 하며, 음이 양을 거부하는 것으로 중병이 되는 것입니다.
첫째로 우리인체에서 간장과 담낭은 사람의 몸과 마음을 따뜻하게 하려는 기운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간장과 담낭에 정기가 실하면 계획하고 설계하는 능력과 시상이 풍부하여 어문학 쪽에 소질이 있곤 합니다. 그러나 어떤 원인으로 간장과 담낭이 허약해지면 사람의 마음에 화가 잘나고 잘 삐지고 심술이 꼬이곤 하여 이런 문학적인 능력(어문학)이 떨어지기도 합니다.
이럴땐 새콤하고 고소한 맛이 나는 오미자나 유자 혹은 잣이나 땅콩등을 자주 드셔서 간장과 담낭에 정기를 채워주는게 바람직한 섭생법입니다.
또한 성장기의 어린이와 학생들은 심성과 골격에 많은 영향을 미치기도 합니다.
둘째로 심장과 소장은 심장이 전신으로 혈액을 공급하여 우리몸의 체온을 유지해 주듯이 우리의 정신과 마음을 밝고 환하고 명랑하고 무한한 상상력을 가질수 있도록 도와주곤 합니다.
그런데 심장이 어떤 원인으로 허약해지면 부끄럽고 소심하고 의기소침해져서 나의 의식세계와 운신의 폭이 줄어들기도 합니다. 또한 성장기에 있는 학생들은 자신감의 결렬로 인하여 여러 친구들과 잘 어울리지 못할뿐 아니라 내성적인 소유의 성품으로 가는 경향도 있습니다. 이럴땐 심장과 소장을 따뜻하게 하는 쓴맛나는 영지차나 인삼이나 커피 혹은 백봉령을 다려드셔도 많은 도움이 됩니다.
샛째로 비장과 위장은 우리가 음식을 먹으면 모두 위장으로 들어가듯이 우리의 정신과 마음을 통합하고 화합하고 집중을 시키는 기운이 강합니다. 따라서 위장을 좋게 함으로써 사람의 마음과 정신을 돈독한 신심과 더불어 신용과 한가지 일에도 온 집중을 다할수 있도록 집중력을 높여 줍니다.
넷째로 폐와 대장은 우리가 공기를 들여마셔 온몸을 긴장 수축시키듯이, 우리의 정신과 마음을 바짝 긴장시키고 다스리고 결합하는 기운이 강합니다. 따라서 폐와 대장을 좋게 함으로써 사람의 마음과 정신세계에 나를 통제하고 의를 중요시하는 대장의 기질 리더십을 키우는데 아주 중요한 역활을 합니다.
다섯째 신장과 방광은 신장에서 노폐물을 거르고 방광에서 내보내듯이 우리의 몸과 마음을 순수하게 하는 기운과 더불어 잘 참고 견디는 인내심과 수학적이고 과학적인 두뇌를 가질수 있도록 도와 줍니다.
신장이 허한 학생들은 허리가 약함으로 인해 의자에 오래 앉아 있는게 힘들기도 하며 수학이나 과학공부가 힘들며 또한 잘 참지 못하고 부정적이고 반대하는 성격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럴땐 신장과 방광을 영양하는 짠맛나는 녹용이나 미역 김 다시마 밤이나 약콩들을 자주 복용하여 신장과 방광에 정기를 채워주는게 중요합니다.
'게임 > 알아두면유익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네비게이션 다운로드 사이트 (0) | 2009.07.24 |
---|---|
[스크랩] 옛날 승용차 (0) | 2009.07.23 |
[스크랩] 생활속의 긴요한 아이디어 입니다~ (0) | 2009.07.18 |
[스크랩] 전국의 山이란 山은 다아 볼 수 있습니다.....! (0) | 2009.07.13 |
[스크랩] 전국맛집 (0) | 2009.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