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공부합시다

[스크랩] [8/22]믿거나 말거나~~~~~~~~~~~

배은기 쌤 2008. 5. 3. 08:22

*나이를 가리키는 한자어들

 

 

 

 

 

 


2-3세 : 해제(孩提)

             손에 앉고 있어야하는 아이, 어린아이

10세 안팍 : 충년(沖年)

             비워있는 나이-> 순수한 나이, 아직 배울게 많은 나이

15세 : 지학(志學)

           15세가 되어야 학문에 뜻을 둔다는 뜻

16세(여) :이팔청춘(二八靑春) -> 2x8=16

20세 : <男>약관(弱冠)
         <女>방년(芳年) 방령(芳齡) -꽃다운 나이[年=齡].묘년(妙年)묘령(妙齡)-젊은 나이

30세 : 이립(而立)

         공자께서 서른살 쯤에 가정과 사회에 모든 기반을 닦는다에서 나온 말

40세 : 불혹(不惑)
           공자께서 40세가 되어서야 세상일에 미혹함이 없었다는 데서 나온 말

50세 : 지천명(知天命)

           공자께서 쉰살에 드디어 천명을 알게되었다는 뜻

51세 : 망육(望六)

           60을 바라봄

60세 : 이순(耳順)

           논어에서 나온 말로 나이 예순에는 생각하는 모든 것이 원만하여

            무슨 일이든 들으면 곧 이해가 된다는 뜻. 또는 육순(六旬)

61세 : 환갑(還甲), 회갑(回甲), 주갑(周甲) 

           60甲子를 돌고 다시 새로운 낳은 간지해가 돌아왔다는 의미
           화갑(華甲) - '華'자는 '十'이 여섯개에다 '一'이 하나

62세 : 진갑(進甲)

         회갑 이듬해, 즉 62세가 되는 해의 생일 , 
           회갑에서 한해 더 나아갔다는 뜻

66세 : 미수(美壽)

         '美'자가 六十六을 아래위로 붙여 쓴 것과 비슷

70세 : 고희(古稀) 또는 칠순(七旬) 
           두보의 곡강시에서 나오는 인생칠십고래희(人生七十古來稀)에서 유래된 말.
           "예로부터 사람이 칠십을 살기는 드문 일"이라는 뜻.

71세 : 망팔(望八)

         팔십세를 바라본다는 뜻

77세 : 희수(喜壽)
           오래살아 기쁘다는 뜻. 喜자의 약자가 七자로 이루어져 77을 뜻함

80세 : 산수(傘壽) 또는 팔순(八旬)

           '傘'자가 八十을 의미함

81세 : 망구(望九) 

           구십세를 바라본다는 뜻

88세 : 미수(米壽)

            여든 여덟살의 생일. 米자는 八十八의 합성어임

90세 : 졸수(卒壽)

            인생을 졸업할 나이가 됨을 뜻함 ,구순(九旬)

99세 : 백수(白壽) 

           百(100)에서 一을 빼면 99, 즉 白자가 됨

100세 : 기이(期頤) 또는 기이지수(期頤之壽)
            사람의 수명은 100년을 1期로 하므로 기라 하고,

            이(頤)는 양(養)과 같은 뜻으로 곧 몸이 늙어 기거를 마음대로 할 수 없어

            다른 사람에게 의탁한다 .

 

 

 

 

 

 

 

 

 

 

 

 

 

 

 

 

 

 

믿거나 말거나~~~~~~~~~~

출처 : [8/22]믿거나 말거나~~~~~~~~~~~
글쓴이 : dsland[손춘수]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