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로 보시면 도움이 될것 같아서 퍼왔습니다.
. 라틴어 글자 및 발음
-------------------------------------------------------------------
대문자 A ...... B .......C...... D ...... E
소문자 a .......b .......c ......d ...... e
글자이름 아(a)....베(be)...체(ce)..데(de)...에(e)
-------------------------------------------------------------------
대문자 N.......O....... P ....... Q .......R
소문자 n.......o....... p ....... q .......r
글자이름 엔(en)...오(o)... 뻬(pe)....꾸(cu)...에르(er)
-------------------------------------------------------------------
대문자 F ....... G...... H...... I......J
소문자 f ....... g...... h.......i......j
글자이름 에프(ef)..제(ge) 하(ha)..이(i)..뙨(iod)
-------------------------------------------------------------------
대문자 S .......T.......U.......V........X
소문자 s .......t.......u.......v........x
글자이름 에스(es).떼(te)..우(u)...브우(vu).익쓰(ix)
-------------------------------------------------------------------
대문자 K..........L..........M
소문자 k..........l..........m
글자이름 깜빠(kappa).엘(el)....엠(em)
------------------------------------------------------------------
대문자 Y...........................Z
소문자 y...........................z
글자이름 입씰론(ipsilon,i Graecum)...제따(zeta)
-------------------------------------------------------------------
2. 모음과 자음 및 발음
▶ 모음 : 단순 모음 : A, E, I, O, U
복합 모음 : Ae, Oe, ex) Poema, Regina caele
애(에) 외(에)
▶ B, b : "ꑁ" ba, be, bi, bo, bu, ab(압), ob(옵)
▶ C, c : ·a, o, u 앞에서는 "豁" Ca(까) Co(꼬) Cu(꾸)
·e, i, y 앞에서는 "쁁" Ce(체) Ci, Cy(치)
·받침으로서는 "衁" ac(악) ec(엑)
▶ g : ·a, o, u 앞에서는 "衁" ga(가) go(고) gu(구)
·e, i 앞에서는 "롁" ge(제) gi(지)
·받침으로서는 "衁" ag(악)
▶ ch : "쑁" christus
▶ gn : "냐" gna(냐), gne(네), gni(윽니), gno(뇨), gnu(뉴)
▶ h : ha(하), he(헤), hi(히), ho(호), hu(후), ah(아), oh(오)
▶ k : "衁" kyrie 외에는 없음
▶ j : ja(야), je(예), ji(이), jo(요), ju(유)
▶ L : "鱁"
▶ R : "鱁"
▶M : "ꁁ"
▶N : "遁"
▶P : "ꡁ" pa(빠), pe(뻬), pi(삐), po(뽀), pu(뿌), ap(앞)
▶Q(q) : 반드시 U자를 데리고 다니면서 다른 모음 앞에만 쓰이는 것임
qua(과), que(궤), qui(귀), quo(구오를 , 빨리 발음하면 "궈"), quu(꾸)
▶S : Sa(사), Se(세), Si(시), So(소), Su(수), as(아쓰), es(에쓰), is(이쓰) OS(오쓰) US(우쓰)
※성스러운 의미일때 "끁"으로 소리남
▶T : "顁" ta(따), te(떼), ti(띠), to(또), tu(뚜), at(앝), et(땛), it(랻)
※ ti 다음에 모음이 오면 "찌" 또는 "쁁"의 중간 발음 gratia
▶X : Xa(윽사), Xe(윽세), ax(악쓰), ex(엑쓰)
▶Y : 그레시아 말에서 온 단어에만 쓰임 cy(치), gy(지)
▶ Z : "롁" za(자), ze(제) ㄴㅇ
***라틴어공부-김종헌신부님
비록 바티칸 제2차 공의회가 모국어의 사용을 허락했지만 아직까지도 교회의 공식 전례 용어는 라틴어이다(전례헌장 36항). 따라서 미사 중에 라틴말로 노래를 하는 성가대원은 이 말의 정확한 발음을 위해 부단히 노력하여야겠다. 본인의 합창 지휘 경험을 통해서 몇 십 년간을 성가대원으로 활동했다는 분들도 엉터리 발음을 하고 있음을 알고 있으며, 가끔은 구제 불능이라는 생각이 들 때가 많았다. 가르쳐도 못 한다는 이야기이다. 그러나 우리 성가대원들은 외국어도 잘 하시는 만큼 이 기회에 제대로 배워 사용하도록 했으면 좋겠다.
먼저 라틴어의 모음을 두 가지 종류로 모아 익히는 것이 발음을 익히는 데나 사용에 편리할 것 같다.
1) a, o, u.
2) e, i, (y)
A: 단모음일 때는 문제가 없을 것이고, 다음에 e가 따라와서 중모음이 될 때 문제가 발생한다. 이런 때는 우리말의 'ㅔ'로 발음한다. 예를 들면 caelum (coelum) = '첼룸' aeternum = 에떼르눔.
그러나 e 위에 " 이 붙으면 중모음이 되지 않고 독립된 두 개의 모음이 된다. 따라서 a"er = '아에르' 로 발음한다. (e위에 " 타이핑하는 법을 몰라 글씨 모양이 이상, 죄송 천만)
C: 위의 제1군의 모음이 붙으면 약한 "ㄲ" 의 발음이 된다. casa = 까사; co = 꼬; cu=꾸
위의 제2군 모음이 붙으면 'ㅊ'의 발음이 된다. Cicero = 치체로; civis = 치비스
caelum= 첼룸.
뒤에 'h'가 붙어 약한 'ㅋ' 처럼 발음된다. Christus = 크리스투스; chorus; 코루스
E: 한국말의 'ㅔ'와 같이 발음한다. Deum = 데움; Dies : 디에스
F: 영어의 F와 같이 아래 입술을 물고 발음하는 것을 잊지 말 것
femina; fabula;
G: 모음 제 1군이 붙으면 약한 'ㄱ' 소리가 나고; Gallia = 갈리아; Gasbal = 가스발
모음 제 2군이 붙으면 'ㅈ' 소리가 된다: Gemma = 젬마; Gemini = 제미니;
조심: g와 n의 중자음은 뒤에 모음이 따라와 gna (냐); gni (니); gno (뇨)로 발음된다.
Agnus = 아뉴스; magnum = 마늄; lingua = 링과
그러나 독일권에서는 아그누스, 마그눔으로 발음한다. 우리 교회는 이태리식의
발음을 따른다. (게시판 180에서 라틴어 발음은 일반적으로 독일어처럼 발음하는
것이 원칙이라고 하는데 어디에서 나온 것인지 궁금!!!)
H: 한국 말의 'ㅎ' 로 발음하면 된다. 단 h 앞에 c, p, 혹은 r가 올 때도 있으며, 이때
Ch는 'ㅋ'로 발음 Christus = 크리스투스;
ph는 'f'로 발음. Philosophia (Ph와 f 발음은 아랫입술을 문다)
J: 'l'로 발음. Jesu = 예수; justum = 유스뚬
K: 드물게 사용하는 글자로 'ㄱ' 혹은 'ㅋ'으로 발음, Kyrie = 기리에 혹은 키리에
L: 반드시 혀를 입천장에 부친다는 것을 잊지말 것. 그렇지 않으면 r 발음이 된다.
N: 우리말의 'ㄴ'과 같이 발음. 그러나 뒤에 c가 따르는 경우, 한국말의 'ㅇ'이 된다.
sanctus = 상뚜스 (상크뚜스가 아님)
P: 이태리어와 독일어 (미국)의 발음이 약간 다르다: 이태리식을 따른다
이태리어에서는 가벼운 "ㅃ"으로 발음하고 영어나 독일어에서는 'ㅍ'으로 발음
Panis = 빠니스; pange = 빤제 ; apostolus = 아뽀스똘루스
Q: Q는 항상 뒤에 u가 같이 따른다.
usque = 우스꿰; qua = 꽈; quo vadis? = 꿔 바디스
R: 영어에서와 같이 절대 혀를 입천장에 부치지 말라.
S: 우리말의 초성으로서의 'ㅅ' 소리와 같이 발음; Sabula = 사불라; sane = 사네
이 발음을 독일에서는 'ㅈ'로 발음하는 경우가 있는 데 우리는 이를 피하자. 예를 들면
Bizet 의 Agnus를 들으면 '미제레레 노비스'라고 발음한다.
S 다음에 c가 따라오고 모음이 붙을 때(이 때의 발음은 C의 발음을 참조)조심해야 한다.
schola = 스콜라; scala = 스깔라; scu = 스꾸
- 제2군의 모음이 따라오면 Sci = 쒸; sce = 쒜;
scientia = 쒸엔씨아; Scena - 쒜나
아마 라틴말 성가 노래에서 가장 무시당하고 있는 발음일 것이다. 제일 마지막 음절에 's'가 오면 거의 발음하지 않고 있다. 언제나 발음해야 한다. Deus meus = "데우스 메우스" 를 "데우 메우"로 발음하는 성가대원들이 거의 대부분이다. 그러나 마지막 음절의 이 발음, 즉 '스' 소리는 나야 하지만 강하게 발음하면 절대로 안 된다. 왜냐하면 강하게 발음할 경우 '스'라는 음절이 하나 더 생기기 때문이다. 마치 "데웃스 메웃스"하듯이 마지막 음절에서
입을 다물고 발음하면 절대로 마지막 '스'에서 입을 열 수도 없고 강하게 발음할 수도 없을 것이다. 이런 식 아니면 이런 느낌으로 발음하도록 하자.
T: 이 발음도 독일어군, 이태리어권이 다르게 발음한다. 이태리식의 약한 "ㄸ"으로 발음하자.
toccare = 똑까레; tono = 또노; tonsura = 똔수라
T 다음에 모음이 따라올 때 조심해야 한다. (지금 게시판의 179 혹은 180 의 질문이기도 하다) 한국말로 설명이 약간 곤란하지만 (왜냐하면 발음을 말로 표현하는 것은 옳지 않다) '씨'로 발음하기로 하되 이 '씨'는 입을 조금 다물고 혀로 아래 이빨 뒤에 대고 발음하면 되겠다. gratia = 그라씨아 그러나 그랏씨아 같은 기분; scientia = 쒸엔씨아;
문제는 또 한 가지. 그러나 ti의 i가 액센트를 받거나 그 앞에 s, x, t가 오는 경우 이 때에는 원래 발음인 'ㄸ'로 한다. 예를 들면 짐승이라는 bestia 는 베스띠아이다. hostia=호스띠아 (성체). 따라서 곽일수님의 질문의 답은 지휘자가 아닌 곽일수님의 답이 옳다.
그 다음, 180번 이 주상님의 질문. 철자는 맞는 데 tibi는 또 다른 단어인고로 띄워 쓰셔야 하겠다. "Gratias agimus tibi"의 경우에 위의 S 발음에서와 언급한 바와 같이 마지막 음절에 붙은 s도 발음해야 한다. 그러나 절대 강하게 발음하면 안 된다. Gratias agimus 의 이 가사에서 '스'를 발음하면서는 절대로 '아지무스'의 '아' 발음을 만들어 낼 수 없다. 만약 그라씨아에서 숨을 쉬고, 아지무스를 다시 시작한다면 몰라도 (그러면 악보와는 다른 쉼표가 생긴다) 그냥 연결시켜 노래하면 자연스럽게 '그라씨아사지무스'가 될 것이다. "그라시아스 아지무스" 내지는 "그라시아스 사지무스"가 아닌 것을 살펴 주셔야겠다. '스'와 '아'가 합해져서 '스아' 내지는 '사'로 변했다. 틀림없다.
그 다음의 글자들은 여러분이 다 아시리라 믿는다. U는 'ㅜ'로, V는 영어의 v (따라서 아래 입술을 물어야), Y는 'ㅣ'로, Z는 우리말의 'ㅈ'을 강하게 발음하면 된다.
################
라틴말 성가 (그레고리오 성가 포함) 의 연습법
라틴말 가사에는 언제나 단어 위에 액센트가 있는 것을 아시는지? 말의 액센트와 멜로디가 가장 잘 어울리는 음악이 라틴말 성가라는 의미가 여기에 있다.
1) 성가대는 제일 먼저 이 액센트 부분을 최대한으로 강조하면서 라틴말 가사를 몇번이고 읽어본다 (노래하는 것이 절대 아님)
2) 다소 과장되리 만큼 액센트 부분을 강조하여 읽어 가다보면 금방 선율선이 머리 속에 떠 오르게 되고, 읽을 때의 기분으로 노래하게 된다.
3) 그 다음 멜로디를 익힌 뒤 가사를 부치면 상상을 초월한, 효과있는 음악을 만들 수 있다.
액센트를 살려 가사 읽기를 많이 하지 않고 연주하는 라틴말 성가는 제대로 될 리가 없다. 한 마디로 엉터리가 될 수밖에 없다는 것을 명심해 주시라.
한국노래이건 외국노래이건 간에 음악을 만들 때 모음은 최대한으로 길게, 울리는 목소리로 노래하고, 자음은 음악의 싯가 마지막에 어쩔 수 없이 부치는 기분 (안 그러면 뜻 전달이 불가함) 으로 노래해야 하는 것을 잘 아시리라 믿는다. 한국 가곡을 예로 들어보겠다. "초여니 쓰을고가안 기이픈 계곡~~~" 비목의 앞부분이다. 이런 기분의 발음으로 노래를 불러 보자. 발음을 똑똑히 한다고 하면서 한 음, 한음을 노래하면 모음 발성이 다 부서져 버린다.
그 다음, 일단 모음을 노래했으면 그 모음에 'ㅎ' 소리를 섞지 않도록 노력하라. 다시 말하면 모음의 색깔을 달리하지 말라는 말이다. 산들바람의 마지막 부분이다. "아 아하 너허도 가며헌 이히 마흠 어이히해"라고 노래하지 말라. "아 아아 너어도 가아며언 이이 마음 어어어이 해" 같이 노래해 보자.
라틴어읽기-이종철신부님의 미사곡
이종철 신부님 성탄 미사곡 발음
(소프라노 가사 중심)
1. Kyrie (자비송)
Kyrie eleison. Christe eleison. Kyrie eleison.
기(키)리에 엘레이손 그(크)리스떼 엘레이손 기(키)리에 엘레이손
(주님, 자비를 베푸소서.) (그리스도님, 자비를 베푸소서.) (주님, 자비를 베푸소서.)
(위 기도문이 구절마다 여러 번 반복됨.)
2. Gloria (대영광송)
Gloria in excelsis Deo. Gloria in excelsis Deo. Gloria in excelsis Deo.
글로리아 인 엑첼시스 데오. 글로리아 인 엑첼시스 데오. 글로리아 인 엑첼시스 데오.
(하늘 높은 데서는 하느님께 영광)
Et in terra pax hominibus bonae voluntatis.
땈 인 떼라 빡스 호미니부스 보내 볼룬따띠스
(땅에서는 주님께서 사랑하시는 사람들에게 평화.)
Laudamus te, Benedicimus te,
라우다무스 떼 베네디치무스 떼
(주님을 기리나이다, 찬미하나이다.)
Adoramus adoramus te glorifica glorificamus te.
아도라무스 아도라무스 떼 글로리퓌까 글로리퓌까무스 떼
(주님을 흠숭하나이다, 찬양하나이다.)
Gratias agimus tibi Gratias agimus tibi
그라씨아 싸지무스 띠비 그라씨아 싸지무스 띠비 (연음 때문에 '싸지무스'가 됨 )
(감사하나이다.)
propter magnam propter magnam glroriam tuam.
쁘롭떼르 마냠 쁘롭떼르 마냠 글로리암 뚜암
(주님 영광 크시오니)
Domine Deus, Rex coelestis, Deus Pater omnipotens.
도미네 데우스 렉스 첼레스띠스, 데우스 빠떼르 옴니뽀뗀스
(주 하느님, 하늘의 임금님) (*전능하신 아버지 하느님)
Domine Fili unigenite, Jesu Christe.
도미네 퓔리 우니제니떼 예수 그(크)리스떼
(외아들 예수 그리스도님)
Domine Deus, Agnus Dei, Filius Patris.
도미네 데우스 아뉴스 데이 퓔리우스 빠뜨리스
(하느님의 어린양)
Qui tollis peccata mundi, miserere miserere nobis.
뀌 똘리스 뻬까따 문디 미세레레 미세레레 노비스 ('미제레레'로 하지 말 것.)
(세상의 죄를 없애시는 주님 저희를 불쌍히 여기소서.)
Qui tollis peccata mundi, suscipe suscipe deprecationem nostram.
뀌 똘리스 뻬까따 문디 수쒸뻬 수쒸뻬 데쁘레까씨오넴 노스뜨람
(세상의 죄를 없애시는 주님, 저희의 기도를 들어주소서.)
Qui sedes ad dexteram ad dexteram Patris, miserere nobis. miserere nobis.
뀌 세데스 둨 덱스떼람 둨 덱스떼람 빠뜨리스 미세레레 노비스 미세레레 노비스
(성부 오른편에 앉아계신 주님, 저희를 불쌍히 여기소서.)
Quoniam tu solus sanctus. Quoniam tu solus sanctus. Quoniam tu solus sanctus.
꿔니암 뚜 쏠루스 쌍뚜스 꿔니암 뚜 쏠루스 쌍뚜스 꿔니암 뚜 쏠루스 쌍뚜스
(홀로 거룩하시고)
tu solus Dominus tu solus Dominus tu solus Altissimus, Jesus Christe.
뚜 쏠루스 도미누스 뚜 쏠루스 도미누스 뚜 쏠루스 알띠씨무스 예수 그(크)리스떼.
(홀로 주님이시며 홀로 높으신 예수 그리스도님.)
cum Sancto Spiritu in cum Sancto Spiritu in gloria Dei Patris. Amen.
꿈 쌍또 스삐리뚜 인 꿈 쌍또 스삐리뚜 인 글로리아 데이 빠뜨리스 아멘.
(성령과 함께 아버지 하느님의 영광 안에 계시나이다. 아멘)
3. Sanctus(거룩하시다) & Benedictus
Sanctus, Sanctus, Sanctus Dominus Sanctus, Sanctus Deus Sabaoth.
쌍뚜스 쌍뚜스 쌍뚜스 도미누스 쌍뚜스 쌍뚜스 데우스 사바오
(거룩하시도다! 거룩하시도다! 온 누리의 주 하느님!)
Pleni sunt caeli et terra, gloria tua. Hosanna in excelsis.
쁠레니 순트 첼리 땈 떼라 글로리아 뚜아 호산나 인 엑첼시스
(하늘과 땅에 가득 찬 그 영광! 높은 데서 호산나!)
Benedictus qui venit in nomine Domini. (4번 반복되고 있음)
베네딕뚜스 뀌 베닛 인 노미네 도미니
(주님의 이름으로 오시는 분, 찬미받으소서.)
Sanctus, Sanctus, Sanctus Dominus Sanctus, Sanctus Hosanna in excelsis.
쌍뚜스 쌍뚜스 쌍뚜스 도미누스 쌍뚜스 쌍뚜스 호산나 인 엑첼시스
(높은 데서 호산나!)
4. Agnus Dei( 하느님의 어린양)
Agnus Dei, qui tolis peccata mundi
아뉴스 데이 뀌 똘리스 뻬까따 문디
(*하느님의 어린양, 세상의 죄를 없애시는 주님,)
miserere nobis.
미세레레 노비스
(*자비를 베푸소서.) (반복)
dona nobis pacem.
도나 노비스 빠쳄
(*평화를 주소서.)
(위 기도문 구절들이 여러 차례 반복되고 있음.)
< 주엽동 성당 한울림 성가대 카페 >
'게임 > 아름다운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詩로 바치는 십자가의 길 (0) | 2008.03.13 |
---|---|
[스크랩] 십자가의 길(Via Dolorosa) - 인순이/Sandi Patti (0) | 2008.03.13 |
[스크랩] [[축일]] 상장예식(연도 및 장례) (0) | 2008.03.09 |
[스크랩] 세계에서 가장 긴 협곡(알롱창포) (0) | 2008.03.09 |
[스크랩] 사제나 수도자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0) | 2008.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