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손님들의방

[스크랩] 사라져가는 풍물, 풍습들

배은기 쌤 2010. 12. 23. 07:47

  

요강

닭서리

학교종

창호지

함진아비

고무신

프로레슬링

성냥공장

금줄

또 다른식솔 "이"

지게

풍어제

전당포

원고지

소쟁기질

대장간

양은도시락

비닐우산

야학

亡者 길안내

편지

회초리

헌책방

양복점

골목놀이

솜틀집

뻥튀기장수

서커스단

측간

주판 혹은 주산

연탄

엿장수

돗자리

놋수저

음악다방

하숙집

펜과 잉크

흑백 TV

삼베

장승과 솟대

멍석

양조장

해녀들

꽃상여

소달구지

오일장

풍물,풍습

추억 48

염전

문지킴이   MAIN

부채

원두막

방앗간

물장수

야식행상

우물

니나놋 집

한국인의 민속

사라져 가는 것들

이제 ‘고무신 거꾸로 신는다’는 말은 바꿔져야 한다.

남자가 군대간 사이 변심하는 여성이 예전보다 드물어져서가 아니라 고무신 신는 여자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고무신을 구두,운동화,샌들 같은 말로 바꾸어야 마땅하다.

정말 여자든 남자든 요즘 고무신 신는 이들을 보기가 어렵다.

절간,상가(喪家) 그리고 한복 입는 명절날에나 볼 수 있다보니 고무신은 특수화(特殊靴) 중의 특수화처럼 느껴진다.

그러나 70년대까지만 해도 시골 등교길의 초등학생들은 거의 다 ‘고무신족’이었다.어쩌다 ‘운동화’ 신은 아이가한 명이라도 나타나면 선망의 대상이었다.어른들은 더해 모두가 고무신 신발차림으로 논밭에 일하러 나다녔다.

농촌인구가 지금보다 최소한 1,000만명이 많던 그 시절 어른,아이 모두에게 필수품이다 보니 고무신 제조업은 큰 산업이었다.국내 신발 산업의 요람인 부산지역의 경우 7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국제상사나 진양고무 등 대규모 회사들은 물론 군소 회사 10여 곳에서 고무신을 생산해왔다.

하지만 지금은 상황이 영 딴판이다.신발가게에 가도 고무신을 진열장에서 만나기 힘들 정도다.찾는 사람들이 제한적이다 보니 물건을 아예 창고에 보관하기 일쑤다.요즘 가격은 켤레 당 3,000∼4,000원 선.

사이즈도 다양하지 않다.2살∼5살배기 아이들용(125∼170㎜)에 바로 성인용(230㎜ 이상)이 이어진다.어린이용 중간사이즈는 아예 생산되지도 않는다.

전남 구례군 구례읍에서 16년째 신발가게를 하고있는 이두례씨(39·여)는 “가게를 시작할 당시만 해도 고무신 찾는손님들이 많아 고무신이 진열장 한 쪽을 버젓이 차지했으나 요즘은 가끔 상가(喪家)에서 한꺼번에 10∼20켤레씩 주문하는 일 외엔 일부 스님과 나이든 농부가 고객의 전부”라면서 “과거와 달리 요즘엔 검정보다는 흰 고무신이 더 많이 나간다”고 말했다.

고무신의 어제와 오늘은 정부의 물가조사에서도 잘 드러난다.한동안 물가조사 필수품목이던 고무신은 지난 1985년 흑백TV와 함께 조사 대상 품목에서 빠지는 운명을 맞았다.대신 이 자리는 외국어학원비와 햄이 채웠다.잘 나가던 부산지역 고무신 생산업체가 상당수 문을 닫거나 생산품목을 바꾸기 시작한 것도 바로 이 무렵이다.

고무신 소요량이 크게 줄어든 데다 높은 기술을 요하는 인력도 부족해 요즘엔 부산지역의 제조업체 2곳이 국내의 전체 내수물량을 겨우겨우 맞춰가고 있다.

이들 2곳 가운데 한 업체인 부산 동국고무의 임종성 사장은 “20여년전만 해도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애용되던고무신이 요즘은 특별한 때 특별한 곳에서 쓰는 것으로 인식될 만큼 세상이 참 많이 변했다”면서 “과거같은 고무신 전성기가 다시 올 수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발췌 : 서울신문

요강

닭서리

학교종

창호지

함진아비

고무신

프로레슬링

성냥공장

금줄

또 다른식솔 "이"

지게

풍어제

전당포

원고지

소쟁기질

대장간

양은도시락

비닐우산

야학

亡者 길안내

편지

회초리

헌책방

양복점

골목놀이

솜틀집

뻥튀기장수

서커스단

측간

주판 혹은 주산

연탄

엿장수

돗자리

놋수저

음악다방

하숙집

펜과 잉크

흑백 TV

삼베

장승과 솟대

멍석

양조장

해녀들

꽃상여

소달구지

오일장

풍물,풍습

추억 48

염전

문지킴이   MAIN

부채

원두막

방앗간

물장수

야식행상

우물

니나놋 집

한국인의 민속

사라져 가는 것들

          


내 너 있는 쪽으로 흘려보내는 저녁 강물빛과
네가 나를 향해 던지는 물결소리 위에
우리 사랑은 두 척의 흔들리는 종이배 같아서
무사히 무사히 이 물길 건널지 알 수 없지만

아직도 우리가 굽이 잦은 계속물과
물살 급한 여울목 더 건너야 하는 나이여서
지금 어깨를 마주 대고 흐르는 이 잔잔한 보폭으로
넓고 먼 한 생의 바다에 이를지 알 수 없지만

이 흐름 속에 몸을 쉴 모래톱 하나
우리 영혼의 젖어 있는 구석구석을 햇볕에 꺼내 말리며
머물렀다 갈 익명의 작은 섬 하나 만나지 못해

이 물결 위에 손가락으로 써두었던 말 노래에 실려
기우뚱거리며 뱃전을 두드리곤 하던 물소리 섞인 그 말
밀려오는 세월의 발길에 지워진다 해도
잊지 말아다오 내가 쓴 그 글씨 너를 사랑한다는 말이었음을

내 너와 함께하는 시간보다
그물을 들고 먼 바다로 나가는 시간과
뱃전에 진흙을 묻힌 채 낯선 섬의
감탕밭에 묶여 있는 시간 더 많아도

내 네게 준 사랑의 말보다 풀잎 사이를 떠다니는 말
벌레들이 시새워 우는 소리 더 많이 듣고 살아야 한다해도
잊지 말아다오 지금 내가 한 이 말이
네게 준 내 마음의 전부였음을

바람결에 종이배에 실려 보냈다 되돌아오기를 수십번
살아 있는 동안 끝내 이 한마디 네 몸 깊은 곳에
닻을 내리지 못한다 해도 내 이 세상 떠난 뒤에 너 남거든
기억해다오 내 너를 얼마나 사랑했는지

(詩) 도종환 - 종이배사랑 

 


   

 

 

 

 

 

 

 

출처 : 사라져가는 풍물, 풍습들
글쓴이 : 황사랑 원글보기
메모 :